고려대학교 간호대학

QUICK MENU
  • 사이트맵
  • 고려대학교
  • KUPID
  • English

교수요목

기초공통과목

간호이론 (Theories in Nursing) [2]

간호과학의 특성을 이해하고 , 이론의 구성요소와 그 형성체계를 탐구하며 , 현 간호이론들을 분석 평가한다.

 

간호연구 (Nursing Research) [2]

간호학 및 간호실무 영역의 연구문제를 확인하고 다양한 연구접근법을 구분하며 , 연구 자료의 수집방법과 자료의 처리 및 분석과정을 이해함으로써 간호연구를 계획 , 수행하는 능력을 기른다.

 

전문간호사의역할과정책 ( Advanced Practice Nurses' Roles and Health Care Policy ) [2]

보건의료체계 내 에서 전문간호사의 다양한 역할 이해 및 정립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의료 환경 및 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정치적 , 윤리적 , 법적 이슈를 분석한다.

 

약리학 (Pharmacology) [2]

약동학과 약력학의 원리를 학습하므로 , 치료약리학적 응용 , 약물의 부작용과 독작용 및 임상시험에 관한 제반 약리학적 이해를 함양한다.

 

병태생리학 (Pathophysiology) [2]

인체에 발생하는 질병에 대한 원인 , 발생기전 , 인체의 기능적 변화를 병태생리학적 측면에서 이해한다.

 

상급건강사정및실습 (Advanced Health Assessment and Lab) [3]

해부학과 병태생리학 및 사회문화적 지식을 기반으로 한 건강증진과 질병관리를 위한 건강력을 수집하고 신체검진을 수행하여 감별진단을 추론해가는 방법을 습득한다. 또한 건강사정에 필요한 의사소통 및 치료적 환자 관계를 정립하는 방법을 모색한다.

 

  ※ '논문 작성법 [2]'은 신설 예정입니다.

 

교육간호사 전공과목

간호통계 (Nursing Statistics) [2]

간호학 및 건강관련 실무영역에서 간호현상을 탐구하기 위한 통계적 기법을 연마하고 간호관련 연구논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.

 

청소년건강교육세미나 (Seminar in Health Education for Adolescents) [2]

청소년 건강교육과 관련된 최근 주요 쟁점과 문제를 분석, 검토하여, 효율적인 청소년 관리 방안과 연구방향을 모색한다.

 

건강증진과보건교육세미나 (Seminar on Health Promotion and Health Education) [2]

국내외 건강증진정책 현황과 발전과정 및 향후 동향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건강증진 정책 방향과 건강증진사업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한다. 이를 토대로 건강증진사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관련 이론과 다양한 보건교육 접근전략을 학습하여 지역사회 건강증진프로그램 기획능력을 함양한다.

 

정신건강교육세미나 (Seminar in Psychiatric Nursing Education) [2]

정신건강 간호교육에 지침이 되는 중요한 이론적 개념과 최근 문헌을 깊이 있게 탐색하고 특정한 주제를 선정하여 관련된 문헌을 고찰한 후 간호실무와 연구의 적용 방법을 분석 토의한다.

 

생윤리학 (Bio-Medical Ethics) [2]

생의 윤리에 관한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간호 현장에서 대두되는 윤리적인 문제를 분석·토의한다

 
질적간호연구 (Qualitative Nursing Research) [2]

질적연구방법의 철학적 관점을 확인하고, 간호연구에 활용가능한 각 접근법의 특성 및 적용과정을 분석, 검토한다.

 

여성건강교육세미나 (Seminar in Women's Health Education) [2]

여성의 성특성과 사회문화적 역할 변화에 따른 여성건강문제를 여성학적 관점에서 조명하고, 관련요인을 검토하며 여성건강교육 방향을 모색한다.

 

증상관리 (Symptom Management) [2]

증상과 관련된 이론을 탐구하고, 증상 사정 및 중재에 대한 연구들을 분석․토의하고, 간호학적 관점에서의 증상 완화를 위한 연구방안을 모색한다.

 

간호관리교육세미나 (Seminar on Education of Nursing Management) [2]

관리 원리를 바탕으로 보건의료 영역에서 관리자의 역할을 분석하여 간호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제반 간호관리 이론과 기술을 학습한다.

 

병태생리학세미나 (Seminar on Pathophysiology) [2]

생체기관의 생리적 기전 및 인체에 발생하는 질병의 발생원인, 질병 진행, 장기조직의 형태 및 기능학적 변화를 이해한다.

 

  ※ '식이와 운동 교육 및 상담 [2]' , '간호교육상담실제 [2]', '테크놀로지기반 간호교육 [2]', '중독 관리 [2]', '중환자간호교육 세미나 [2]', 치매간호중재세미나 [2]' '노인간호중재세미나 [2]' 은 신설 예정입니다.

 

 

임상전문간호사 전공과목

성인건강문제와 관리 I (Adult Health Problem and Management I)[2]

성인 대상자에게 흔한 심혈관계와 소화기계 주요 질환의 병태생리적 이해를 바탕으로 건강사정과 진단적 검사결과를 토대로 하여 감별진단 및 간호진단을 적용한다. 또한 이들 질환과 관련된 경험과 주요 건강 이슈를 논의하며, 임상적 의사결정을 위한 추론과정에 비판적 사고를 강조한다.

 

성인건강문제와 관리 II ( Adult Health Problem and Management II) [2]

성인의 급, 만성 호흡기 및 비뇨ㆍ생식계와 관련된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거 기반의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한 전문직 치료 및 간호중재 방안을 학습한다.

 

성인건강문제와 관리 III (Adult Health Problem and Management III) [2]

성인대상자의 내분비ㆍ면역계 및 혈액 질환의 병태생리기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건강사정과 진단적 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감별진단 및 간호진단을 하는 능력을 습득한다. 또한 이들 질환과 관련된 경험과 주요 건강 이슈를 논의하며, 임상적 의사결정을 위한 추론과정에 비판적 사고를 강조한다.

 

성인건강문제와 관리 IV (Adult Health Problem and Management IV) [2]

성인의 신경계 및 근골격계와 관련된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거 기반의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한 전문직 치료 및 간호중재 방안을 학습한다.

 

상급임상간호세미나 (Seminar on Advanced Clinical Nursing)[2]

건관리와 관련된 의사결정 시에 근거중심의 가이드라인에 의한 환자 관리 방법을 사례 연구를 통해 토의하고 전문간호사의 발전을 위해 비용 효과적 접근 방법을 모색한다.

 

상급임상간호학실습 I (Practicum in Advanced Clinical Nursing Ⅰ) [3]

성인의 호흡기 , 심혈관계 , 소화기계 및 비뇨 생식계의 건강문제를 확인하고 , 이를 해결하기 위한 최신 치료 및 간호 중재 방법을 실무에 적용한다.

 

상급임상간호학 실습 Ⅱ (Practicum in Advanced Clinical Nursing Ⅱ) [3]

성인의 내분비계 , 혈액면역계 , 신경계 , 근골격계 및 감각계의 건강문제를 확인하고 , 이를 해결하기 위한 최신 치료 및 간호중재 방법을 실무에 적용한다.

 

상급임상간호학 선택실습 I (Preferential Practicum in Advanced Clinical Nursing Ⅰ) [2]

학생의 임상 전문영역 (호흡기 및 심혈관계 , 소화기계 및 비뇨 · 생식계 , 내분비계 및 혈액면역계 , 신경계 , 근골격계 및 감각계) 을 선택하여 , 해당 영역의 성인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전문직 치료 및 간호중재 방법을 실무에 적용한다.

 

상급임상간호학 선택실습 II (Preferential Practicum in Advanced Clinical Nursing Ⅱ) [2]

상급임상간호학 선택실습 I 과 연속된 강의로 , 학생이 선택한 임상 전문영역 (호흡기 및 심혈관계 , 소화기계 및 비뇨 · 생식계 , 내분비계 및 혈액면역계 , 신경계 , 근골격계 및 감각계)에서 해당 영역의 성인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전문직 치료 및 간호중재의 실무 적용을 학습한다.